티스토리 뷰

건강정보

콩팥 건강을 지키는 식습관

☆♧♤ 2020. 7. 13. 08:41
반응형

콩팥 건강을 지키는 식습관

 

콩팥은 두 개가 합쳐서 300g일 정도로 작은 기관입니다. 그런데 작은 기관치고 하는 일은 굉장히 많고, 또 중요한 일을 도맡아 합니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우리가 먹은 모든 음식물에서 나온 노폐물을 걸러내는정화장치역할을 합니다. 무조건 걸러내는 것이 아닐, 우리 몸에 곡 필요한 단백질은 보존하고 불필요한 노폐물만 걸러냅니다. 다시 말해 우리 몸속에 꼭 필요한 것들만 남기고 나머지 불필요한 것들은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신장은 24시간 쉬지 않고 일을 합니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30세까지 콩팥의 기능이 정점을 찍을 정도로 좋다가 30세 이후부터 1년에 1%씩 신장 기능이 감소합니다. 그런데 이 콩팥이 고장 나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것까지 빠져나가거나(신증후군)필요하지 않은 노폐물을 빠져나가지 못하는(사구체 신장염)상태가 돼 문제가 됩니다. 또한, 만성 콩팥병은 콩팥(신장)이 제 기능을 못 하는 상태로 만성신부전증이라고도 부릅니다. 전문가들은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거나, 신장 기능이 저하돼 투석을 받는 환자들은 식습관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콩팥 건강을 지키는 식습관

1. 충분한 열량 섭취

튀김, 볶음 등의 조리법을 이용하고 당뇨병이 없다면, 설탕, , 사탕, 젤리 등을 간식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단백질 과다 섭취 제한

3, 4단계의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권장되는 단백질량은 건강한 정상인과 비교해 절반 정도입니다.

3. 염분(나트륨) 섭취 제한

베이컨, , 소시지, 치즈, 포테이토칩, 팝콘 등 염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피해야 합니다.

4. 칼륨 섭취 주의

콩팥 기능 저하에 의한 고 칼륨 혈증은 근육마비, 부정맥, 심장마비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각종 과일류, 녹황색 채소, 감자, 고구마, 콩류 등을 많이 먹으면 안 됩니다.

5. 인 섭취 주의

피부 가려움증, 관절통, 대사 성골 질환, 혈관질환 등을 유발하므로 육가공품, 견과류, 콜라, 어묵 등을 과다 섭취하면 안 됩니다.

6. 적절한 수분 섭취

1일 소변량이 1,000cc 미만이거나 부종이 심할 경우 전날 소변량보다 500~700cc(2~3) 정도 많게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